New Template
국내 민간 드론 단체들이 국내 드론 산업 발전을 위한 자구책 마련에 발 벗고 나섰다. 국제 협회와 공조해 드론 제조 부품 표준을 마련하고, '위장 국산' 드론을 걸러낼 기준도 업계 스스로 확립해 검증을 추진한다.
한국드론산업협회는 미국 미국재료시험협회(ASTM)와 협력해 드론 부품 표준화 기준 마련 논의에 나섰다. 미국 연방항공국(FAA)이 산업표준 개발을 위해 선정한 국제기구 'F38위원회'가 ASTM 소속이다.
드론 제조에 들어가는 주요 부품인 비행제어장치(FC) 반도체, 모터, 전선 등에 대한 표준이 마련돼야 해당 기준에 맞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취지에서다. 현재 미국이나 일본에도 무인항공기에 들어가는 부품에 대한 표준은 확립돼 있지 않다. 스마트폰에 투입되는 센서가 드론에 쓰여도 작동만 되면 문제가 없다는 식이다. 그러나 항공기에 들어가는 부품은 내구성과 안정성 측면에서 별도 기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현재도 인증 시스템은 있지만 표준이 부재한 상황에서는 인증 자체에 시간과 효율성이 크게 떨어진다.
박성종 한국드론산업협회 회장은 6일 “현재 국내 드론 산업은 조립만 있을 뿐 생산이나 원천기술은 있다고 보기 어렵다”면서 “표준이 마련되면 제조 현장에서 소재나 부품 원천기술 국산화에 물꼬가 트이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무인기시스템진흥협회는 드론 소프트웨어(SW)와 하드웨어(HW) 국산화 기술 수준에 대한 검증 활동도 준비하고 있다. 협회는 올해 4월 초부터 국산드론 검증위원회를 발족하고 전문가 7명을 위촉, 5개월 동안 국산 드론의 정의와 기준을 정립했다.
HW 부분은 중소벤처기업부의 드론 HW 직접생산확인증명을 정의하는 '기체 설계-프레임 가공-부분품 조립-완성품 시험/조정'의 이행 과정을 점검하고 SW는 탑재컴퓨터용SW, 구성품SW, 지상통제장비SW로 구분해 자체 개발 및 오픈소스 적용 기술 등을 포함한 기술 수준과 성능평가를 통해 제품별로 국산화 수준을 종합 판정할 계획이다.
한국무인기시스템협회 관계자는 “현행 HW 중심의 직접생산확인증명제도의 미비점 보완과 실질적인 국산 제품의 기술증명 제도 정착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드론 국산기술 통합인증제도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관련 부처에서의 적극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형두기자 dudu@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 전자신문인터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