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선 승객은 전년보다 다소 줄었으나 국제선은 늘어나
전국 수치는 1억2005만8371명… 일본 노선이 가장 붐벼
지난해 김해공항 이용객이 코로나19가 확산되기 이전의 93.5% 수준까지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흐름을 고려하면 올 연말에는 2019년 실적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해공항 국제선에서 탑승을 기다리는 승객들.
12일 국토교통부 항공 통계를 보면 지난해 국내 공항에서 비행기에 탑승한 사람은 1억2005만8371명(국내선 3113만1750명·국제선 8892만6621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1억50만8691명)보다 19.5% 늘었다. 또 가장 이용객이 많았던 2019년(1억2336만6608명)의 97.3%에 도달했다. 2020년부터 2022년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연간 공항 이용객이 2019년의 29.5~45.3%에 그친 바 있다.
지난해 국내선 승객 수는 2023년(3218만9676명)보다 3.3%, 2019년(3298만968명)에 비해 5.6% 적었다. 반면 국제선 이용객은 전년(6831만9015명) 대비 30.2% 늘면서 2019년(9038만5640명)의 98.4% 수준까지 회복했다. 코로나19에 대한 규제가 풀리면서 해외여행 제한이 없어져 외국 여행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국제선 노선 승객은 일본이 2514만3112명으로 개별 국가 중 가장 많았다. 1년 전(1938만2535명)보다는 29.7%, 2019년(1886만3541명)보다는 33.3% 증가했다. 엔저 현상이 이어지고 국내외 항공사들의 항공편 공급도 증가한 것이 이유로 거론된다. 중국 노선 이용객은 1377만2415명이었다. 중국인의 한국 단체관광 재개 및 한국인 비자 면제 등이 겹치면서 2023년(684만8108명)에 비해 배 이상 늘었다.
일본과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노선의 지난해 이용객은 3498만8264명으로 조사됐다. 전년(2850만6012명)보다 22.7% 늘었다. 2019년(3644만2447명) 대비 회복률은 96%다. 미주 노선은 지난해 651만6005명이 탑승했다. 전년(561만210명)과 2019년(554만4177명)보다 각각 16.1%, 17.5% 증가했다.
지난해 김해공항 이용객은 1232만4656명(국내선 336만6030명·국제선 895만8626명)으로 전년의 1006만7557명(국내선 357만9631명·국제선 648만7926명)보다 22.4% 늘었다. 국내선 탑승객이 줄어든 대신 국제선 이용객은 200만 명 이상이 증가했다. 지난해 수치는 2019년 1317만6441명(국내선 365만2099명·국제선 952만4342명)의 93.5% 수준이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