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정보포털시스템 항공정보포털시스템

검색하기

검색하기

키워드


기사 분류별


날짜

~

인사/동정/행사

  • 제목 하이즈항공 대표 “비수기 없는 항공시장…中 뚫고 세계로″
  • 작성일 2017-12-20 17:13:00
  • 조회수 353
  • 첨부파일

"중국 때문에 항공기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비수기, 성수기가 따로 없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시장이죠. 그런데 하이즈항공은 보잉의 중국 자회사 BTC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톈진 공장이 완공되면 중국 매출비중이 급성장 하는 것을 볼 수 있을 겁니다."


항공기 종합 부품 사업을 하는 하이즈항공의 하상헌 대표는 최근 문재인 대통령을 따라 한ㆍ중 정상회담 경제사절단으로 중국을 방문했다가 BTC(미국 보잉-중국항공공업기업 중국 합작회사)와 전략적 동반자 관계 형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는 성과를 얻었다.


하 대표는 아시아경제와 인터뷰에서 일찌감치 중국 시장을 공략한 배경에 대해 "항공시장이 커지려면 땅이 넓거나 사람이 많거나 돈이 많아야 하는데, 한국은 이 세 가지가 모두 부족하다. 중국은 이 3요소를 모두 갖춘 곳이어서 중국 시장 공략이 절실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하 대표는 이번 MOU 체결로 인해 BTC가 중국 톈진에 구축중인 신규 공장 단지에 함께 공장을 만들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내년 3월에 공사를 시작해 2019년 6월 완공되면 BTC와 함께 부품 조립을 완료해 중국 대형 고객사가 수주한 항공기에 제품을 납품할 수 있게 된다. 기존에 독자적으로 뛰어들어 한계를 보였던 중국 수주 방식도 이제는 BTC와 컨소시엄 형태로 접근해 더 쉬워진다.


하 대표는 "중국 고객사의 수주를 받은 보잉 항공기에 하이즈항공 제품이 더 많이, 다양하게 들어갈 수 있다는 얘기"라며 "톈진 공장은 항공산업에 공을 들이는 중국 정부의 지원을 많이 받아 구축되는 것이어서 큰 투자금이 들어가지도 않는다"고 말했다.


하 대표는 현재 한국 60%, 중국 30% 일본 등 기타 10%의 매출 구조가 톈진 공장 완공 후에는 한국 35%, 중국 45%, 일본 등 기타 20% 수준으로 변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쪽 매출 비중 확대를 기대할 수 있는 배경에는 중국의 폭발하는 항공기 수요도 한몫 한다. 미국 항공기 제조회사 보잉은 2036년까지 중국의 항공기 수요가 총 7240대, 금액으로는 1조1000억달러(1242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 대표도 "보수적으로 봐도 중국이 향후 20년간 B737급 항공기 6000대를 만들 수 있다는 건데, 항공기 종합부품 기업 입장에서는 비수기가 따로 없이 꾸준히 성장할 수 있는 시장이 열렸다는 뜻"이라고 기대했다.


하 대표는 올해 하이즈항공의 흑자전환을 자신했다. 이미 1~3분기 모두 지난해 동기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한데다 4분기에도 수주가 계속되고 있어 매출 확대 및 수익성 개선이 예상된다고 했다. 그는 "해외 대규모 수주를 예상해 지난해 대규모 인력 채용과 시설 투자를 한 게 적자의 원인이 됐는데, 올해는 외형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함께 갈 수 있다"며 "내년에도 올해와 비슷한 30% 수준의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5년 코스닥 상장 당시만 해도 한국항공우주(KAI), 대한항공 등 한국 고객사 매출이 대부분이었던 하이즈항공은 현재 고객사 다변화 노력 끝에 중국 BTC, 중국상용기유한책임공사(COMAC) 뿐 아니라 일본 MHI, KHI, SMIC 등과 모두 거래하고 있으며 제품이 들어가는 항공기 기종도 세계적으로 가장 잘 팔리는 B737과 기체 대부분이 첨단 복합소재로 제작된 B787 주력으로 발전하고 있다.


하 대표는 항공업계에 27년간 몸담아 한우물만 판 베테랑이다. 대학 졸업후 KAI 전신 중 하나인 현대우주항공 협력사에서 항공부품 납부와 엔지니어 컨설팅 업무를 담당했고 2001년 하이즈항공을 설립, 2015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하 대표는 "항공기 종합부품 사업을 하는데 한국은 좁고 중국을 발판삼아 세계로 나가는 게 정답이지만, 항공업 자체는 머리 좋고 손이 빠르며 융통성이 있는 한국인들이 잘할 수 있는 분야"라며 "한국의 항공기 부품을 만들고 조립하는 기술력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신뢰를 얻고 있다"고 말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